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1930년대 미국의 대공황, 밀가루 포대로 탄생한 패션 혁명

OCCULT

by offy 2023. 10. 10. 00:18

본문

반응형

대공황 시기와 밀가루 포대
 
 1930년대는 대공황으로 인해 미국 경제가 침체한 시기였습니다. 이로 인해 가정 경제는 매우 어려운 상황에 직면했습니다. 실업률이 상승하고 소비는 감소했기 때문에 가정에서는 경제적인 측면에서 무엇이든 절약하고 재활용하는 것이 중요한 이슈였습니다. 이러한 배경에서 '밀가루 포대'가 주목을 받게 되었습니다.

1929년부터 1933년 미국의 1인당 국내총생산 그래프. 1929년 858달러에서 1932년 476달러, 1933년 455달러로 뚝 떨어졌다.


 밀가루 포대는 당시 미국에서 판매되는 밀가루를 담는 자루로, 가정에서 가장 흔하게 구입하고 사용하는 물품 중 하나였습니다. 이 자루에는 밀가루 뿐만 아니라 가축 사료나 비료 등 농산물이 포장되어 있었기 때문에, 자루 자체의 천은 품질이 우수하고 견고했습니다.

밀가루 포대 패션의 탄생

 경제적인 어려움 속에서 가정주부들은 이 밀가루 포대 천을 재활용하여 다양한 의류와 제품을 만들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패션은 "Feed Sack Clothes"라고 불리며, 사료포대 옷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천은 쿠션 커버, 수건, 앞치마, 셔츠, 드레스, 심지어는 기저귀까지 만들어졌습니다. 어린 아이들을 위해서는 포대에 구멍을 내어 머리와 팔다리만 빼고 그대로 입히는 방법도 사용되었습니다.

밀가루 포대를 입고 있는 아이들. 포대에 팔다리와 목 구멍만 내어서 그대로 입혔다.


 하지만 이러한 밀가루 포대의 디자인은 처음에는 패션용으로 만들어진 것이 아니었기 때문에 흉물스럽거나 낡았습니다. 그러나 밀가루 포대를 생산하는 회사들은 이를 개선하기 위해 노력했습니다. 그들은 천의 디자인을 예쁘게 개선하고 다양한 패턴과 색상을 추가하여 매력적으로 만들었습니다. 또한, 포대자루 천을 옷으로 만들기 쉽도록 바느질 방법을 개선하여 재활용이 편리하도록 만들었습니다.

사료 포대 옷을 입고 사료 포대 모자를 쓴 여자아이들. 바둑판 무늬 배경에 큼지막하게 닭 사료라고 적혀 있다.


특수 잉크와 패턴 디자인

 밀가루 포대의 특수 잉크는 인쇄된 글자를 가정에서 쉽게 지울 수 있도록 했습니다. 이 잉크를 지우는 방법도 포대자루 천에 인쇄되어 있어, 따뜻한 비눗물에 천을 넣고 문질러서 글자를 깨끗하게 지울 수 있었습니다. 이런 방식으로 사용 후에도 패턴이 그려진 튼튼한 천으로 남을 수 있었습니다.

포대자루에 쓰였던 패턴 디자인들. 말을 타는 기수, 우산을 쓴 커플의 실루엣, 주방용품, 꽃, 발레리나, 빨랫줄 등이 그려져 있다. 배경색도 다양하다.


 이러한 밀가루 포대의 디자인과 잉크는 제조업체들에 의해 마케팅 수단으로 활용되었습니다. 여러 회사들은 고객들에게 홍보물을 배포하고, 예술가들이 디자인한 멋진 패턴을 강조했습니다. 이를 통해 밀가루 포대가 소비자들에게 유용하면서도 유용한 패션 아이템임을 알리는데 성공했습니다.

To Wash Out Ink라고 쓰여 있는 포대자루 확대 사진.


마무리

포대자루로 만든 옷을 입고 포대자루 위에 앉아서 대화하는 두 여성. 왼쪽의 여성은 포대자루 천을 들고 있다.


 1930년대의 대공황 시기는 경제적 어려움으로 가정 경제를 위협했지만, 이 어려운 상황에서도 창의적인 가정주부들과 제조업체들의 협력으로 밀가루 포대 패션 혁명이 탄생했습니다. 이는 경제적인 어려움을 극복하고자 노력한 사람들의 창의력과 미국 사회의 상호작용의 결과물로, 패션과 디자인의 중요성을 강조한 사례입니다. 이러한 패션 혁명은 당시와 미래의 패션 및 디자인에 영향을 미쳤으며, 소비자 경험 디자인의 예술적인 면을 보여주는 사례 중 하나입니다.


 아울러 대공황과 그 심리학적 측면을 분석하면 위의 내용을 더 깊이 이해할 수 있습니다.

1. 경제 불안과 심리적 영향

● 불황기는 경제적 불안을 유발합니다. 실업률 상승, 급격한 경제 하락, 금융 위기 등이 경제적 불안을 가중시키며, 이로 인해 사회적 불안, 스트레스, 우울증, 불안장애 등의 심리적 문제가 증가할 수 있습니다.

경제적 어려움은 가정 내에서 금전적인 스트레스를 유발하며 가정 구성원들 간의 갈등과 긴장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레퍼런스: Dooley, D., Fielding, J., & Levi, L. (1996). Health and unemployment. Annual Review of Public Health, 17, 449-465.

2. 창의성과 경제적 어려움

불황기는 경제적 어려움에 직면한 개인들에게 창의성을 요구합니다. 자원이 부족한 상황에서 새로운 아이디어를 찾아내고 자원을 절약하는 능력은 생존에 중요합니다.

밀가루 포대 패션과 같은 사례는 경제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한 창의적인 대안의 예시입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사람들은 자원을 재활용하고 창의적인 방법으로 문제를 해결하려고 노력할 수 있습니다.

레퍼런스: Simonton, D. K. (2012). Taking the U.S. Patent Office criteria seriously: A quantitative three-criterion creativity definition and its implications. Creativity Research Journal, 24(2-3), 97-106.

3. 패션과 심리적 안정

불황기 동안 패션은 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사람들은 자신을 표현하고 자존감을 높이기 위해 패션을 활용합니다. 경제 어려움 속에서도 예쁜 패턴과 색상의 옷을 입음으로써 자신을 안정시키고 긍정적인 심리 상태를 유지하려고 노력할 수 있습니다.

밀가루 포대 패션은 경제 어려움을 극복하려는 사람들의 긍정적인 자아 표현의 결과로 볼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사람들은 자신의 창의력과 자원 활용 능력을 실현하며 심리적 안정을 찾을 수 있습니다.

레퍼런스: Davis, F. (1992). Fashion, culture, and identity. University of Chicago Press.

4. 마케팅과 심리적 영향
 
밀가루 포대 회사들은 패션을 마케팅 수단으로 활용했습니다. 특별한 디자인, 예술적인 패턴, 특수 잉크를 사용하여 제품의 가치를 높이고 소비자들의 긍정적인 심리적 영향을 유도했습니다.

이러한 마케팅 전략은 제품 경험 디자인의 예술적인 측면을 강조하고 소비자들의 감정적인 연결을 강화하는 데에 성공했습니다.

레퍼런스: Kotler, P., & Armstrong, G. (2010). Principles of marketing. Pearson Education.

 불황기와 경제적 어려움은 개인과 사회의 심리적 상태에 영향을 미치며, 창의성과 자원 활용 능력을 요구합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패션은 자아 표현과 심리적 안정을 찾는 도구로 활용될 수 있으며, 마케팅 전략은 제품 경험과 소비자의 심리적 연결을 강화하는 데 기여할 수 있습니다. 밀가루 포대 패션은 이러한 맥락에서 더 깊게 이해할 수 있는 사례 중 하나입니다.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