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미군 트래비스 킹, 북한 추방 후 무사귀환: 미국의 대응과 북미관계의 전망

CURRENT EVENTS

by offy 2023. 9. 28. 16:23

본문

반응형

지난 7월 19일 미국 위스콘신주 커노샤에서 트래비스 킹 이병의 할아버지가 킹의 사진 옆에서 인터뷰하는 모습. AP=연합뉴스

 미국인 트래비스 킹 이병이 북한에서 무단으로 월북한 후 70여일 만에 중국으로 추방되고, 미국 당국이 킹 이병의 신병을 확보한 뒤 미국으로 무사귀환한 사건이 큰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이에 대한 상황과 분석을 아래에서 종합적으로 살펴보겠습니다.

 

트래비스 킹 이병의 월북 사건과 추방

검정 티셔츠에 검정 모자를 쓴 킹의 뒷모습. 공동경비구역의 군사분계선을 넘기 전 포착됐다

트래비스 킹 이병은 미국 군인으로서 북한에 월북한 사건으로 큰 관심을 끌었습니다. 그는 지난 7월 18일 군사분계선(Military Demarcation Line, MDL)을 무단으로 넘어가 월북했습니다. 월북 당시 그의 동기나 이유는 알려져 있지 않았지만, 그 후 북한 당국에 의해 구금되었을 가능성이 크다고 추정됩니다. 그동안 그의 상황에 대한 정보가 전혀 나오지 않았으며, 그의 건강과 안전 여부에 대한 우려가 컸습니다.

 그러나 이후 북한 당국은 트래비스 킹 이병을 중국으로 추방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이에 따라 킹 이병은 중국 단둥(Dandong)으로 이송되었으며, 건강 상태는 양호하다고 보고되었습니다. 그 후 미국은 의료 편의를 고려하여 킹 이병을 중국 선양(Senyang)으로 이송하였고, 이후 한국의 오산(Osan) 미군 기지를 거쳐 미국으로 향했습니다.

미국 정부는 트래비스 킹 이병의 석방에 대한 미국 당국의 공식 입장을 밝히면서 그의 상태는 양호하며, 정신적, 신체적 건강에 문제가 없다고 밝혔습니다.

압록강을 경계로 중국과 북한 신의주 국경을 연결한 단둥교


미국 정부의 대응과 북미관계

Fxxx Korean” 월북 미군, 욕하며 순찰차 걷어찼다가 벌금 500만원


 미국 정부는 킹 이병의 석방을 위해 북한 당국과 간접적인 접촉을 시도하였습니다. 이 과정에서 스웨덴이 북한과의 외교적 대행 역할을 수행하며 중재에 나서기도 했습니다. 이익대표국(Protecting Power)으로 알려진 이런 제3국의 역할은 미국과 북한과의 외교관계가 없을 때, 이 나라가 둘 간의 대화와 문제 해결에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됩니다.

 그러나 미국 정부는 북한에 대한 어떠한 양보도 하지 않았으며, 트래비스 킹 이병의 석방이 북미관계를 어떻게 영향을 미칠지에 대해서는 "외교 가능성이 여전히 열려 있다"고 밝혔습니다. 이는 북미관계의 미래에 대한 불확실성을 시사합니다.

미국 내외의 반응과 북한의 결정

 미국 내에서는 이번 월북 사건이 북한과의 대화에 있어 새로운 변수로 작용할 수 있을 것이라는 우려가 나왔습니다. 이는 북한이 월북 사건을 이용해 어떠한 대가를 요구할 가능성에 대한 우려입니다. 미국 공화당의 일부 의원들은 북한이 트래비스 킹 사건을 이용하여 미국에 대한 어떤 요구를 제기할 것이라고 경고하기도 했습니다.

 북한은 트래비스 킹 이병을 '불법 침입자'로 규정하고, 그의 불법 침입과 관련한 이유를 주장하며 이를 추방한 것으로 보고되었습니다. 그러나 이번 사건으로 인해 북미 간의 공식적인 대화가 다시 시작될지에 대해서는 여전히 미지수입니다.


정리

 트래비스 킹 이병의 월북과 북한에서의 구금, 추방, 그리고 미국으로의 귀환은 국제 사회와 북미관계에 큰 관심을 불러일으켰습니다. 이번 사건은 미국과 북한 간의 관계와 북한의 향후 행보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으며, 향후 북미관계와 미국의 대북정책을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